Cherry's study log

[데일리미션1-3] UX/UI 디자이너와 비슷한 JD분석 본문

데일리 미션

[데일리미션1-3] UX/UI 디자이너와 비슷한 JD분석

민채리 2024. 1. 18. 18:07

가끔 채용공고를 보면 UX 리서처,UX 기획자 등 세분화 되어있는 직무를 발견할 수 있었다.

하지만 업무 내용이 대부분 비슷해서 차이점을 정확히 파악하고 싶었는데 서치를 하다가 아주 좋은 글을 발견했다.

UX 리서처

UX 리서처 또는 분석가는 말 그대로, 고객이 겪고 있는 문제를 발굴하기 위해 사용자 조사를 계획&수행하고, 포착된 이슈에 내포된 유저들의 니즈를 추출하는 업무를 담당한다. 이 과정에서는 정성적 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는 분석적인 사고 능력과, 정량적인 데이터를 함께 다룰 수 있는 능력도 함께 요구된다. 같은 현상도 다양한 관점으로 해석해 볼 수 있는 폭넓은 사고의 자세를 갖추고 있어야 한다.

UX 기획자

UX 기획자의 역할은, 앞선 사용자 조사에서 발굴된 니즈를 기반으로 개선되어야 할 방향성을 설정하는 것이 주요 업무이다. 방향성이 제대로 설정되어야, 제품/서비스가 보다 더 많은 고객들에게 사랑받을 수 있기에 아주 중요하다. 또한, 방향성을 기반으로 개선된 콘셉트를 만들어 보고, 퍼소나를 설정하여 스토리라인을 구상해 보는 등 실제 제품/서비스가 구현되기 이전의 총체적인 기획을 담당한다. 또한, 시장에서의 차별적 경쟁력을 갖춰야 하기에 창의성과 꼼꼼함이 매우 요구되는 직종이다.

UX 디자이너

UX 디자이너는 UX 기획자가 기획한 제품/콘셉트를 실물로 구현하여, 고객에게 직접 검증받는 단계를 거친다. 완벽한 디자인 결과물을 내놓기 이전에, 여러 프로토타입을 제작해, 고객이 조금 더 수월히 해당 기능/서비스를 인지하고, 사용하는 쪽으로 설계할 수 있어야 하며, 지속적인 비교 검증을 하는 것이 주요 업무다. 와이어프레임, IA(정보구조 설계), UI 등을 설계할 뿐만 아니라, 심미성에 있어서도 고객의 마음을 사로잡을 수 있어야 하기에, 최신 디자인/UI 트렌드에 민감해야 한다.

 

 

https://zero-base.co.kr/event/media_insight_contents_27

 

UX 리서처/기획자/디자이너의 차이를 아시나요? | zero-base

UX 관련 포지션의 주요 업무와 특성을 정리해보았다.

zero-base.co.kr

 

 

 

1. 비슷한 직무 JD 분석

 

UX 리서치 (UX Researcher)

1. 오늘의 집

오늘의집 User Research 팀은, 오늘의집 첫번째 핵심 가치인 <고객에 대한 집착>을 실현하는 팀 입니다.오늘의집 사용자에 대한 정량, 정성 조사를 진행하고, 오늘의집 프로덕트와 관련된 사용자 Pain points/필요/욕구를 조사합니다. 프로덕트팀, 사업팀과 협업하여 오늘의집 프로덕트를 개선하고 더 나은 서비스를 만드는데 기여합니다.

 

주요업무

  • 정량 데이터 엑셀 정리 및 분석
  • 정성 데이터 1차 정리 및 분석
  • 설문 조사 설계 및 작성
  • 인터뷰 대상자 관리
  • Secondary Research (시장 현황, 사례 조사, 사용자 트렌드 조사 등)

자격요건

 
  • UX 리서치에 관심이 많고, 관련 정보를 찾아 스스로 익힐 수 있는 분
  • 설문조사를 진행 및 분석하여 정량 데이터의 인사이트를 발굴하고 시각화 할 수 있는 분 (엑셀, 파워포인트 활용 능력 필수)
  • 유연한 커뮤니케이션과 원활한 협업이 가능하신 분

우대사항

  • 사용자 리서치 방법론에 대한 이해 및 경험이 있는 분
  • 제 2 외국어에 능통하신 분 (영어, 일본어 등)

 

2. 넥슨[인텔리전스랩스]

인텔리전스랩스는 다양한 게임 정보를 활용해 ‘빅데이터’, ‘머신러닝·딥러닝’, ‘인공지능(AI)’ 기술과 공학적 사고를 통해 솔루션을 만들고 게임 사용자와 넥슨 구성원이 사용할 서비스를 제공하는 조직입니다.UX Researcher/UX분석가(게임 경험 분석)는 인텔리전스랩스UX분석실 소속으로,넥슨이 더 나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게임에 대한 사용자 경험을 분석하고 인사이트를 발견합니다.

 

주요업무

넥슨에서 라이브 서비스 중이거나 개발 중인 게임들의 사용자 경험을 측정/분석하고 개선안을 제안합니다.

  •   다양한 게임들의 특성을 파악 후 유저 데이터 기반 인사이트 추출
  •   전문 분야(HCI,인지심리 등)와UX방법론을 활용한 유저 리서치(FGT, UT, FGI등)설계,사용자 경험 측정
  •   유저 리서치에 기반한 사용자 관찰 및 측정 결과 데이터 분석을 통한 인사이트 도출,개선안 프레젠테이션

자격요건

  • 문제 해결을 위해 연구 가설을 설계하고 검증한 경험이 있으신 분
  •  UX리서치(양적/질적)설계 및 수행이 가능하신 분
  • UX리서치 방법에 대한 이론/실무적인 지식을 가지신 분
  • 설문,심층 인터뷰,사용성 테스트 등의 사용자 조사 경험이 있으신 분
  • 게임에 대한 이해도가 있고,게임 트렌드 변화에 관심을 갖고 계신 분

우대사항

  • Python, R, SQL 등을 활용한 데이터 분석 경험이 있으신 분
  • UX 관련 대학원(HCI, 인지공학, 산업공학 등)에서 심화 방법론이나 분석법을 전공하신 분
  • 유사 업계(게임,리서치, UX 컨설팅, IT등)에서 심화 방법론이나 분석법의 경험이 있으신 분
  • 주체적으로 일을 만들고 리드하는 것을 좋아하시는 분

 

3. 토스

  • UX Researcher 는 7개의 디자인 직군이 있는 Design 챕터에 속해있어요.
  • UX Researcher는 사용자의 목소리가 필요한 모든 팀과 협업하고 있어요. 주로 제품팀과 밀접하게 협업하며, 리서치를 의뢰받는 구조로만 일하지 않고 서비스에서 문제의식을 느낀다면 먼저 제안도 해요.
  • 올 한해 목표는 토스 제품에 필요한 리서치에 집중하여 제품에 큰 임팩트를 가져다줄 수 있는 인사이트를 발굴하는 것에 집중할 거예요.

주요업무

  • 제품의 문제를 발굴해서 메이커들이 놓칠 수 있는 사용자의 목소리를 전달
  • 사용자의 목소리를 바탕으로 제품이 어떻게 바뀌어야 할지 방향성을 제안하거나 개선 지점을 발굴
  • 다양한 제품만큼이나 다양한 금융 맥락의 리서치를 경험하며 그 안에서 리서치의 처음과 끝을 주도
  • 사용자 테스트 (UT: User Test), 심층 인터뷰 (In-depth Interview), 집단 심층 인터뷰 (FGI: Focus Group Interview), 설문조사 등 제품의 적절한 리서치 방법론을 통해 사용자 경험을 조사

자격요건

  • 디지털 프로덕트의 사용자 경험 개선을 위한 업무를 진행해본 적 있는 분
  • 디지털 프로덕트에 대한 충분한 이해도와 경험이 있는 분
  • 상황에 맞는 최적의 리서치 방법론을 사용할 수 있는 분
  • 리서치 결과를 팀에 효과적으로 공유하여 제품의 방향성을 제시할 수 있는 분
  • 제품 개선을 위해 사일로/팀과 원활한 협업과 설득을 잘하실 수 있는 커뮤니케이션 스킬 필요

 

 

서비스 기획자 (Product Manager)

서비스 기획자와 UX 디자이너의 차이점은 무엇인지 매우 궁금..

 

1.카카오 VX 메타사업기획팀 서비스 기획 담당자

 

주요업무

  • 스포츠 팬덤 서비스 정책 및 기능 정의 업무를 담당
  • 이벤트 기획 및 진행 업무를 담당
  • 개발자 및 디자이너와 커뮤니케이션 및 협업을 통한 서비스 구현 업무를 담당
  • 앱 서비스 화면 Flow, UX/UI, 컨텐츠, 시스템 기획 업무를 담당합니다.

자격요건

  • 기획 문서를 디테일하게 작성 가능하신 분
  • 앱 서비스의 프로세스 이해도가 높으신 분
  • 다양한 시각으로 서비스를 바라보고 자신의 견해와 주장을 논리적으로 설명 가능하신 분
  • 해외 출장에 결격 사유가 없으신 분

우대사항

  • 서비스 기획 관련 경험 및 경력을 보유하신 분
  • MS office, Google Workspace, Figma 등 툴 작성 및 관리가 능숙하신 분
  • 앱/웹 서비스 출시 경험이 있으신 분
  • 개발 프로세스에 대해 이해가 높으신 분
  • 블록체인 서비스를 이용중이거나 관심이 있으신 분

 

2.카카오 모빌리티 내비서비스 기획

카카오내비를 만들고 운영합니다. 기존 사용자의 불편 요소를 찾아내고 개선하며, 단순한 길안내도구를 넘어 모빌리티의 핵심이 되는 서비스를 직접 만들어가는 경험을 합니다.  누구도 생각하지 못했던 새롭고 더 좋은 기능을 만들고 제공하며 사용자의 만족을 위해 고민하며, 복잡하고 어려운 task들도 끈기 있게 파고들며 동료들과 협업하며 해결해 나갑니다.

 

주요업무

  • 내비게이션 서비스 기획 및 운영
  • 프로젝트 매니징, 서비스 기획/운영
  • 화면/UX 기획, 데이터 분석

자격요건

  • 다양한 이해관계자와의 논리적이고 원활한 커뮤니케이션이 가능하신 분
  • 상위기획에서 구현, 운영까지 서비스 AtoZ의 경험이 있으신 분
  • 작은 변화나 불편을 감지하고 문제의 본질에 접근하여 적극적으로 개선할 수 있으신 분
  • 자차 운전 경험이 있고, 내비게이션을 포함한 모빌리티 서비스에 이해가 있으신 분

우대사항

  • 위치기반 또는 모빌리티 서비스 기획 경험이 있으신 분
  • 모빌리티 관련 업종 근무 경력이 있으신 분
  • 지도/데이터 체계에 대한 이해도가 있으신 분

 

 

Web Designer

 

1. 카카오 (사내 커뮤니케이션 웹 디자이너 어시스턴트 JD)

사내커뮤니케이션팀은 카카오 안에서 일어나는 크고 작은 일들을 공유하는 콘텐츠를 정기적으로 발행하고 있으며, 크루들이 즐겁게 참여할 수 있는 이벤트 등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주요업무

  • 콘텐츠를 발행에 필요한 디자인 기획 및 적용
  • 콘텐츠 제작을 위한 영상 기획 및 편집
  • 시즈널 이슈 및 이벤트를 위한 디자인 기획 및 적용

자격요건

 
  • 웹디자인이 가능하신 분
  • 영상 촬영 및 편집 가능하신 분
  • 블로그 및 뉴스레터, 광고 배너, 숏폼 영상 등 진행 경험이 있으신 분 (우대)

 

2. 무인양품

 

주요업무

  • Web/APP 유지 보수(사이트UI디자인/레이아웃작업)
  • 상세페이지 레이아웃 편집 디자인
  • 홈페이지 업데이트 등 사이트 관리

자격요건

  • 디자인 툴 사용 능숙자

우대사항

  • 관련 자격증 보유자 (웹디자인 기능사,컴퓨터 그래픽스 운용 기능사)
  • 관련 스킬 보유자 (HTML,CSS,UI/UX)

 

3. 티르티르(비주얼 디자인팀 웹 디자이너)

 

주요업무

  • 제품 상세페이지 제작
  • SNS 컨텐츠 제작
  • 판매채널 배너,팝업 등 제작
  • 오프라인 행사 비주얼 제작물 전반
  • 비주얼 트렌드 조사 및 리포트

자격요건

  • 포토샵,일러스트,인디자인 등 디자인 툴 상급 이상

우대사항

  • OOH,리플렛 등 오프라인 디자인 제작 경험자
  • Html/css 코딩 가능자
  • 화장품 관련 업계 가능자
  • 대행사 근무 경력자
  • 영상 제작 능력 보유

 

2. 직무 별 공통 역

1. UX 리서치

역량 : 1. 커뮤니케이션 능력 2. 데이터의 인사이트 발굴 3. 사용자 경험을 조사

한줄 정리 : 고객이 겪고 있는 문제를 발굴하기 위해 사용자 조사를 계획&수행하고, 인사이트를 통해 니즈를 추출하는 업무를 한다. 

 

2. 서비스 기획자

역량 : 1. 커뮤니케이션 능력 2. 

한줄 정리 : 다양한 시각으로 서비스를 발견하고  새로운 서비스를 구상하는 업무

서비스 디자인은 회사가 하고자하는 비지니스,시장에서 고객들이 사게 만들 제품 혹은 서비스를 어떻게 설계하고 관리할 것인지를 다룬다면 UX 디자인은 그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를 고려하여 그들의 경험을 더 좋게 만드는 과정같다고 말한다.

 

3. 웹 디자이너

역량 : 1. 디자인 툴 사용 능숙자 2. 레이아웃 작업 가능

한줄 정리 : 상세페이지나 세부적인 화면 등 사이트 전체를 디자인하고 관리하는 업무

 

 

3. 직무 별 차이점 및 특징

정리 UX 리서치 서비스 기획자 웹 디자이너
한줄 정리 사용자 조사/ 인사이트를 통해 니즈를 추출 다양한 시각으로 서비스를
발견하고  새로운 서비스를 구상
상세페이지나 세부적인 화면 등 사이트 전체를 디자인하고 관리하는 업무
다른 직무와의 차이점 분석적인 사고 능력 필요 다양한 시각으로 서비스를
바라보는 능력 필요
레이아웃/편집 디자인에
능숙하거나 디자인 기획
특징 커뮤니케이션 스킬 필요 문제의 본질에 접근 디자인 비중이 높음

 

 

 

 

 

 

 

 

 

서비스 디자인과 UX 디자인 차이 참고 글

https://seanlion.github.io/ux/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