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UXUI 아티클 스터디 (5)
Cherry's study log

오늘의 아티클(주제) UI 용어 이해하기 아티클 정보 요약 UI 용어의 정의를 알고있어야 소통의 문제가 없기에 용어 공부를 해야한다. 자주쓰는 용어를 정리한 글이다. 1. BTN 상태 : State 정리 UI 요소들의 상태를 나타내는 단어 Enabled 상호작용이 가능한 상태 Disabled (어떤 이유로든) 동작할 수 없는 비활성 상태 Hover : 마우스 또는 포인터가 올려진 상태일 때 Focused : 키보드 또는 음성 등의 입력을 통해 강조된 때 Activated : 활성화된 상태로서 강조 표시된 때 Pressed : 마우스 또는 포인터로 클릭/터치했을 때 2. 자주 사용하는 UI 요소와 컴포넌트 정리 1) GNB (Global Navigation Bar) : 일반적으로 웹사이트 최상단에 위치하는..

오늘의 아티클(주제) 좋은 UX/UI 디자인은 어떤 특징이 있을까? 아티클 정보 요약 UX/UI 감이 좋은지 테스트를 하는 사이트가 있길래 해보았다. 비교를하며 어떤 디자인을 하는게 더 좋은지 상황과 함께 알려준다. 1. 오래 읽기 좋은 글 사람들은 왼쪽에서부터 오른쪽 / 큰 글씨부터 작은 글씨 위에서부터 아래로 글을 읽는다고한다. 따라서 왼쪽정렬로 글을 쓰면 시작점이 매번 같기에 좋다고한다. 2. 대비와 강조 A의 [아보카도]를 살펴보면 B에 의해 색상도 연하고 글자 크기도 작다. 따라서 밑에 있는 대형견 밥그릇이 더 눈에 들어오고 아보카도와 대형견 밥그릇을 한 그룹으로 묶고 가격과의 간격을 두어 자신이 원하는 정보를 식별하기 쉽다고 생각한다. 3. 가독성 줄간격을 글자 크기의 1.5배로 지정해야하며 ..
오늘의 아티클(주제) 복잡함과 혼란스러움의 차이를 만드는 UX 디자인 방법에 대한 설명 (어제 인지 부하를 줄이는 방법에 대한 글을 작성했는데 그 글과 이어지는 맥락의 아티클을 찾아서 오늘의 아티클 스터디로 골랐다.) 아티클 정보 요약 사용자의 인지 부하를 최소화하기위해 혼란스러운 디자인을 하지 않는 법 즉, 복잡함을 다루는 방법에 대해 소개하고있다. UX디자인에서의 단순함과 복잡함 단순함과 복잡함은 각각 긍정,부정으로 분리되곤 하지만 UX관점에서는 좋고 나쁨의 가치 판단 기준으로 삼을 수 없다.다만 혼란스러움은 사용자의 인지 부하를 높이거나 행동을 방해하기때문에 부정적인 속성에 해당한다. 그렇다면 복잡함과 혼란스러움의 차이는 무엇이며 복잡함을 어떻게 다뤄야할까? 복잡함을 다루는 방법 1. 서비스 특성을..
오늘의 아티클(주제) 인지부하를 줄이는 UX디자인의 비밀 아티클 정보 요약 사용자가 웹사이트나 앱을 사용할 때, 인지 부하를 최소화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고있다. 인지 비용을 최소화 하는 것은 UX디자인에서 중요하며 사용자가 제품이나 서비스를 효율적으로 이해하고 목표를 달성할 수 있도록 돕는다. 인지 부하란? 인지 부하(cognitive load)는 학습이나 과제 해결 과정에서의 인지적 요구량을 말한다. 어떤 정보가 학습되기 위해서는 작동기억 안에서 정보가 처리되어야 하는데, 작동기억이 처리해 낼 수 있는 정보의 양보다 처리해야 할 정보가 많으면 문제가 생기며 인지부하가 생기게 된다. 인지 부하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wikipedia.org) 인지 부하를 줄이는 방법들 - 간결함과 명확성..
오늘의 아티클(주제) 획기적인 UXUI 디자인 사례 아티클 정보 요약 사용자가 서비스를 이용할 때 불편한 점을 최소화시키거나 상품 구매 시 중요한 조건 등을 편리하게 비교할 수 있는 서비스의 사례를 소개하였다. 다양한 서비스 중 기억에 남는 서비스를 기록해보고자한다. - 에어비앤비 와이파이 자동연결 에어비앤비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특징 (장소를 처음 방문)과 그들의 니즈(와이파이를 쉽게 연결하고싶음)를 파악하고 와이파이를 연결하는 서비스를 앱 내에서 제공하고있다. 호스트에게 비밀번호를 받고 영어와 숫자 철자를 하나씩 치는 번거로움을 해결한 좋은 서비스다. - Yes24 책 크기 비교 책뿐만 아니라 구매한 물건이 너무 크거나 작을 때 곤혹스러운 경우가 생긴다. 특히 '책'은 '책장'이라는 특수한 공간에 보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