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erry's study log
[아티클 스터디1-3] 커머스 목록 UX의 유용성과 혼란 사이 균형 잡기 본문
오늘의 아티클(주제)
복잡함과 혼란스러움의 차이를 만드는 UX 디자인 방법에 대한 설명
(어제 인지 부하를 줄이는 방법에 대한 글을 작성했는데 그 글과 이어지는 맥락의 아티클을 찾아서 오늘의 아티클 스터디로 골랐다.)
아티클 정보 요약
사용자의 인지 부하를 최소화하기위해 혼란스러운 디자인을 하지 않는 법 즉, 복잡함을 다루는 방법에 대해 소개하고있다.
UX디자인에서의 단순함과 복잡함
복잡함을 다루는 방법
1. 서비스 특성을 고려하기
모바일 쇼핑으로 예시를 들자면 서비스를 이용하는 목적에 따라 목록에서의 사용자 행동이 달라진다.
-목적형 쇼핑(필요 정보설명,목적지향) - ex)쿠팡
정확히 사고 싶은 제품을 검색하고 서서히 한 상품으로 좁혀 갈 때의 목록 확인 방식
검색과 필터,정렬과 같은 기능 활용하며 상품을 상세히 확인하고 싶을 때 상세페이지로 접근
[특징]
1. 알고리즘을 통해 개인화,맞춤화에 집중
2. 파인딩 고도화로 검색의 편의성 높이기
3. 촘촘하게 타깃을 분석하여 관리
-발견형 쇼핑(욕망,취향,다양한 탐색) - ex)무신사
상품군 위주로 여러 상품을 탐색하고 훑어볼 때의 목록 확인 방식
목록을 좀 더 빠르게 스크롤하며 정보를 '훑어보며'확인
필요한 정보를 목록에서 바로 확인할 수 없다면 사용자에게 인지 부하를 준다.
[특징]
1. AI가 할 수 없는 큐레이션 제안 (무신사의 '코디' 탭 메뉴)
2. 공유할 만한 감성 기반의 스토리 콘첸츠 제공
(고객 라이프스타일의 맥락과 접점에 따라 이어지는 감정과 연관된 경험 제안)
3. 관심사 기반의 고객 소통 지원 ( 고객 간 소통 채널 마련)
발견형 쇼핑을 중심으로 설계되어 있는 서비스에서는 사용자의 특징을 고려하여
목록에서 바로 확인 할 수 있도록 디자인 하는 것이 훨씬 중요하다.
2. 사용자 중심으로 정보 제공
다양한 정보를 제시할 때 사용자가 마주쳤을 때의 혼란스러움은 반드시 제거해야한다. 정보는 사용자의 입장에서의 상품 이점을 중심으로 , 하나의 속성에 단일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좋다. 한 묘둘에 정보가 많이 들어가더라도 명확한 정보를 전달하면 효율적인 탐색에 도움을 줄 수 있다.
ex) 다양한 할인 혜택 제공 정보를 계속 주는 것 보다 최종 할인 가격이 궁금한 사용자
3. 체계와 위계 부여
- 사용자에게 필수적인 정보
- 사용자가 인식하는 정보끼리의 유사성
- 우리가 사용자에게 반드시 강조하고 싶은 항복
- 일반적으로 커머스 서비스를 이용하면서 익숙한 체계와 위계
인사이트
좋은 점
어제는 인지 부하라는 개념을 이해하고 인지 부하를 줄이는 방법의 아티클이었다.
어제와 비슷한 맥락의 글 이지만 서비스의 특성을 고려하고 사용자 중심의 정보를 제공해야한다는 추가정보를 얻었다.
아쉬운 점
조금 더 파고들어 다양한 예시를 정리한다면 더 좋겠다.
출처
https://brunch.co.kr/@yonniek/15
https://yozm.wishket.com/magazine/detail/1543/?utm_source=oneoneone
'UXUI 아티클 스터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티클 스터디2-2] 자주 쓰는 UI 용어 (1) | 2024.01.23 |
---|---|
[아티클 스터디2-1] UX/UI 레벨테스트 (1) | 2024.01.22 |
[아티클 스터디1-2] 인지부하를 줄이는 UX/UI 디자인 (0) | 2024.01.17 |
[아티클 스터디1-1] 삶의 질을 높여주는 UX/UI 디자인 (0) | 2024.01.16 |